Factor 팩터는 어떤 주식을 설명하는 잘 정의된 특성이다.
추상적인 위 정의를 예를 들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본적 분석의 가치투자를 하는 사람들은 ROE가 지속적으로 높은 기업은 안정적이고 미래에도 수익성이 좋은 기업이라고 생각해서 주식을 산다는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다.
회사마다 사람마다 다를 수 있지만 개별 회사의 팩터의 종류는 크게 다음의 5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고 본다.
- Value (가치)
- Quality
- Momentum
- Size
- Low Volatility
1. Value (가치)는 비슷한 기업들 혹은 경쟁 기업들에 비해서 저평가된 주식을 찾는 전략이다.
- Price-to-Earnings Ratio (PER)
- Price-to-Book Ratio (PBR)
- Earning per Share (EPS)
2. Quality는 상대적으로 더 건전한 재무 지표를 갖는, 수익성이 좋은 기업에 투자하는 전략이다.
- Return-on-equity (ROE)
- Debt-to-equity (D/E)
- Earnings Stability
3. Momentum은 주식 가격의 지속적인 방향성을 갖는 추세를 활용하는 전략이다.
- Risk-adjusted excess return
- Relative Strength Index (RSI)
4. Size는 기업의 크기를 활용하여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따라서 투자하는 전략을 의미한다.
- Market Capitalization 시가총액
5. Low Volatility는 전체 시장 대비 변동성이 낮은 주식을 선택하여 위험을 관리하는 전략을 의미한다.
- Historical Price Volatility
- Beta
이외에도 Growth 성장이나 Profaitability 수익성 등도 고려할 수 있다.
Macroeconomic factors 거시경제 팩터
개별 회사 외에도 거시 경제적 특성을 반영할 수도 있는데 블랙록에서는 Macroeconomic factors 거시경제 팩터를 다음의 6가지로 분류한다.
- Economic Growth
- Liquidity
- Emerging Markets
- Credit
- Inflation
- Real Rates
References:
https://www.quantus.kr/factor_strategy/factor
https://www.investopedia.com/terms/f/factor-investing.asp
https://www.blackrock.com/americas-offshore/en/strategies/what-is-factor-investing
https://www.ishares.com/us/investor-education/investment-strategies/what-is-factor-investing
https://www.msci.com/documents/1296102/26194489/Factor-Investing-Infographic-Report.pdf
https://www.msci.com/documents/1296102/1339060/Factor+Factsheets+Value.pdf
https://www.msci.com/factor-index-scorecard
https://www.ishares.com/us/investor-education/investment-strategies/what-is-quality-investing
https://www.msci.com/www/blog-posts/the-dividend-yield-factor/0272595496
'Time Series > Fin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FFMs (2024) 논문 리뷰 (0) | 2025.05.10 |
---|---|
FinGPT (2023) 논문 리뷰 (0) | 2025.05.02 |
BloombergGPT (2023) 논문 리뷰 (0) | 2025.05.02 |
SEC Fillings를 읽기 위한 회계용어 몇가지 정리 (1) | 2025.05.02 |
SEC 미국 공시 관련 정보 모음 (0)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