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2 우리말 연구의 첫걸음 우리말 연구의 첫걸음, 유현경 외, 2015, 보고사. 예전에 자연어처리 공부하기 전에 기초적인 언어학적 지식을 쌓기 위해 본 책이다. 이전에 정리했던 내용을 블로그에 올린거라 자세한 내용은 기억이 나지 않지만 올려본다. 우선 책의 전반적인 내용을 알 수 있는 목차부터 살펴보자. 제1장 한국어학의 기초 제2장 사회언어학 제3장 방언학 제4장 통사론(Ⅰ)-문자의 구성 제5장 형태론 제6장 음운론 제7장 통사론(Ⅱ)-문법 범주 제8장 어휘론 제9장 의미론 제10장 화용론 제11장 한국어의 역사 제12장 한국어정보학 제13장 한국어교육학 언어학 중에서도 한국어학의 기초부터 시작해서 사회언어학, 방언학 등도 나온다. 하지만 AI의 NLP 분야를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내용은 통사론, 형태론, 음운론, 어휘론.. 2024. 3. 4. 자연어처리 (NLP) 기초 자연어처리는 컴퓨터가 자연언어 (한국어, 영어, 일본어 등의 자연적으로 생성된 언어)를 이해하고 분석하고 생성할 수 있도록 만드는 기술이다. 언어학의 하위 분야 중에서 전산언어학 (computational linguistics)에서는 컴퓨터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기존에는 규칙 기반 혹은 통계 기반에서 분석을 했으나 2010년대부터는 딥러닝을 적극적으로 도입했다. 언어학의 연구 분야들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AI 분야에서 주의 깊게 봐야할 분야를 대략적으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언어학의 분야 형태를 연구하는 음운론(Phonology), 형태론(Morphology) , 통사론(Syntax) 내용을 연구하는 의미론(Semantics) 언어의 사용을 연구하는 화용론(Pragmatics) 형태론 (Morph.. 2024. 2. 29. 이전 1 다음